[김대호의 경제읽기]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23주째 하락…부동산 시장 한파<br /><br /><br />서울 아파트 매매 수급지수가 23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는 등 최근 잇단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우려로 부동산 시장에 심상치 않은 한파가 불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치솟는 이자 부담에 월세로 돌아서는 수요가 늘면서 전세는 줄어들고 월세는 오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부동산 시장 상황,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 서울 아파트 매수 심리가 꽁꽁 얼어붙으며 아파트 거래 시장이 이른바 '빙하기'를 맞이하고 있습니다. 향후 추가 하락 속도가 가파를 거라는 전망도 나오는데, 어떻게 진단하고 계신지요?<br /><br /> 극심한 거래 침체, 부동산 시장에 어떤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나요? 정부는 집값이 좀 더 안정되어야 한다는 입장과 함께 침체 부작용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는데 연착륙을 유도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금리 인상과 집값 하락 전망은 전세 시장의 수요 감소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. 집값 하락으로 인한 '깡통 전세'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점도 주택 임대차 시장에서 큰 변수일 것 같은데요. 당분간 월세 강세는 계속된다고 봐야할까요?<br /><br /> 고공 행진하는 월셋값이 추후 금리 완화 시기가 왔을 때 집값 상승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데 가능성은 어떨까요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인플레이션의 중요 지표인 미국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 CPI가 시장의 예상을 넘는 8.2%로 발표됐습니다. 미 연준이 '자이언트 스텝'을 밟을 가능성이 더 높아진 것 아닌가요? 우리 기준금리와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은 어떻게 전망하세요?<br /><br />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물가 추세를 예측하는데 사용되는 근원물가지수가 40년 만에 최대폭으로 상승하며 인플레이션이 단기적인 요인이 아닌 구조적인 요인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는데 무슨 이야긴가요? 당분간 인플레를 쉽게 잡기 어렵다는 뜻일까요?<br /><br /> 중국에 대한 반도체 기술·장비 수출을 금지한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·SK하이닉스의 중국 현지 공장에 대해선 수출 통제 조치를 1년 유예했습니다. 우리 기업으로서는 한시름 놓을 수 있게 된거죠?<br /><br /> 한국산 전기차의 미국 시장 내 피해가 우려되는 '인플레이션 감축법'에 대한 미국의 전향적인 움직임을 기대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. 전망은 어떤가요?<br /><br /> 즉석 복권 인기에 조기 소진이 예상되며 정부가 올해 즉석 복권 발행 규모를 당초 계획보다 확대하기로 했습니다. 내년 경기가 더 나빠지면 이런 현상이 더 뚜렷해질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는데 정말 경기와 복권 판매량이 관계 있나요?<br /><br />#아파트매매 #수급지수_하락세 #집값하락 #자이언트스텝 #소비자물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